목록개발/기타 (9)
레커

네트워크 계층네트워크 계층이란역할OSI 7Layer의 3계층으로 패킷 포워딩과 네트워크간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 수행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 계층적 구조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 L3라고 말함IP 정의와 구조IP(Internet Protocol)네트워크 계층에서 통신하는 주요 프로토콜로 라우팅을 구현하고 본질적인 인터넷을 구축하는 계기전송 제어 프로그램의 비연결 데이터그램 서비스로 시작하여 연결 지향 서비스로 보완TCP/IP 모델의 기원현재는 IPv4 사용 중이며, IPv6 버전도 릴리즈됨IP 주소 확인Windows : CMD > ipconfigLinux : ifconfigIP 구조IP는 Header와 Payload로 구성Header 는 목적지와 출발지IP주소 등 포함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구성 자원(RESOURCE) - URI 행위(Verb) -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 REST 특징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합니다. Stateless (무상태성) REST 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습니다.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는 저장하지 않습니다. 다시말해 세션 정보 및 쿠기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관리하기 떄문에 API서버는 요청오는 것만 처리합니다. 이런 특징으로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고 구현이 단순해집니다. Cacheable(캐시 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

모델-뷰-컨트롤러(model–view–controller, MVC)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이다. model–view–controller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Model 데이터를 보관하는 부분을 말하며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합니다. 모델의 규칙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뷰나 컨트롤러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는다.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 통지에 대한 처리방법을 구현해야 함 View 화면상에 출력되는 부분을 말하며 주로 HTML/CSS/Javascript같이 레이아웃 과 화면 처리를 담당합니다. 뷰의 규칙 모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따로 저장해서는 안됩니다. 뷰에서는 모델이나 컨트롤러와 같이 다..
함수(function)란? 함수란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하나의 독립된 블록을 말한다. 어떠한 기능을 함수로 구현하면 원하는 시점에 해당 함수를 호출하여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함수 선언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작업하는 명령문; return 값; } 함수이름 : 함수끼리 구별하는 식벽자 역할을 하고 규칙은 변수 선언 규칙과 동일 매개변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로 초기값을 저장할 변수를기재한다. 매개변수의 개수는 여러 개가 될 수 있으며 , 로 구분해서 기재한다. 매개변수는 함수가 받아올 초기값이 되며 해당 값이 함수에 올바르게 넘어오지 않으면 함수가 실행되지 않는다. return : 함수의 실행이 종료된 이후 함수의 실행 결과로 나올..
자바스크립트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타입(data type)은 객체(object)입니다. 객체란 이름(name)과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property)의 정렬되지 않은 집합 프로퍼티의 값으로 함수가 올 수도 있는데, 이러한 프로퍼티를 메소드(method)라고 합니다. 객체 생성 1. 리터럴 표기(literal notation)를 이용한 방법 var 객체이름 = { 프로퍼티1이름 : 프로퍼티1의값, 프로퍼티2이름 : 프로퍼티2의값, key : value, ... }; 2. 생성자 함수(constructor function)를 이용한 방법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메소드를 생성자(constructor)라고 하며, 이 메소드는 새롭게 생성..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실행할 명령이 결정되도록 하는 역할한다. 1. if 문 if 문은 특정 조건식에 여부에 따라 실행해야할 명령문이 결정된다. if (조건식){ 조건 만족 시 실행 할 문장; } 2. if ~ else 문 if (조건식){ 조건 만족 시 실행 할 문장; }else{ 조건 만족하지 않을 때 실행 할 문장; } 3. if ~ else if 문 if (조건식1){ 조건1 만족 시 실행 할 문장; }else if(조건식2){ 조건 1은 만족하지 않고 조건2 만족하는 경우 실행할 문장; }else (조건식3){ 다 만족하지 않은 경우 실행할 문장; } 4. switch 문 switch ( 상태 ) { case 값1 : 명령문 1; break; case 값2 : 명령문 2; break; case..
● 자료형 자료형은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특성과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자료형이라고 합니다. - 데이터의 잘 보관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의 모양(형태) 필요 - 데이터를 가공(연산)을 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의 특성이 필요 ● 기본 자료형 1. Number 보통 우리가 흔히 아는 숫자들을 보관하는 데이터 타입 크게는 정수 / 실수형(부동소수점)으로 나타내고 Infinity, -Infinity, NaN 특수 숫자값이 포함되어있다. → Infinity : 무한대 → NaN : 계산 중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값 2.BigInt 자바스크립트에서는 ±2^53 까지 안전하게 표현을 할 수 있다. 이 보다 큰 숫자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형 BigInt(1234) === 1234n 3.String 보통 ..

◆ 변수(variable) 변수란 프로그램에서 수정될 수 있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 메모리 위치의 이름을 말한다. 어떠한 값을 담아둘 수 있도록 해주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1. 변수명 작성 규칙 변수명은 반드시 알파벳과 _, $ 만 가능하다를 이용해서 지어야 한다. 변수명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2. 변수 선언 형식 let / const / var (변수명) ; 예시 let temp1; const temp2 ; var temp3 ; let : ES6로 개정되면서 생성된 변수 선언 방식 → 중복 선언 불가능 → 재할당 가능 var : ES6 이전에 사용하던 변수 선언 방식 → 중복 선언 가능 → 재할당 가능 const : 변수를 생성하지만 수정을 막을 때 사용하는 선..